반응형 전체 글62 Gender Neutral Language 테솔을 공부하면서 좋았던 점이 영어뿐 아니라 다른 다양한 언어들의 특성에 대해 가볍게나마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거였다. 그러는 과정에서 흥미로웠던 주제들 중 하나가 gender neutral language였다. 한국어에서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분위기 상 gender neutral language라는 개념이 크게 논의되지는 않는 것 같은데, 영어권에서는 일반인들에게도 많이 친숙한 개념일 뿐 아니라, 학문을 하는 사람이라면 글을 쓰거나 프레젠테이션, 토의를 할 때, 슬라이드를 만들 때도 꼭 관련 지식을 알고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도록 주의를 해야 한다. 각 언어는 고유한 문법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성 중립적인 표현을 도입하는 방식도 다르다. 영어는 비교적 쉽게 성 중립적 표현을 받아들이고 .. 2025. 2. 9. 한국인의 영어 발음 오류 유형과 원인 캐나다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아이가 책이 필요해서 서점에 간 적이 있다. 책 제목에 'ball'이 들어갔는데, 서점 직원한테 책이 있는지 물어보려고 제목을 말했는데 직원이 자꾸 내 /b/발음을 /p/로 이해하는 것이었다. 나도 한국에서 나름 영어에 관해 학문적으로 공부한 사람이고 한국인이 모국어인 한국어의 영향으로 발음하기 어렵고 실수를 자주 하는 발음들은 익히 알고 있었는데, 이 두 발음을 아무리 내가 발음해도 구별을 못하는 그 직원 때문에 정말 당황했었다. 나중에는 철자까지 말해줘서 해결할 수 있었지만, 이론으로만 배웠던 것들을 현실에서 겪어보니 두 언어의 차이를 정말로 실감할 수 있었다.1. 한국인의 영어 발음 오류 유형① 자음 오류유성음과 무성음 혼동 (Voiced vs. Voicele.. 2025. 2. 8. 외국어 학습의 '결정적 시기 가설' 결정적 시기 가설(Critical Period Hypothesis, CPH)란?이 가설에 따르면, 출생 후 특정한 시기(약 12~13세 이전)까지는 인간의 두뇌가 언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 이후에는 언어 습득이 어려워진다고 본다. 특히, 이 시기가 지나면 원어민과 같은 발음(Accent)과 유창성(Fluency)을 얻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가설은 뇌의 가소성(Neuroplasticity)과 관련이 있으며, 어릴 때 뇌가 더 유연하게 발달하기 때문에 언어 습득 능력이 더 뛰어나다고 설명한다.Krashen과 결정적 시기 가설의 관계Stephen Krashen은 결정적 시기 가설을 직접적으로 주장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입력 가설(Input Hypothesis)".. 2025. 2. 7. 팟캐스트 (Podcasts)로 배우는 영어 캐나다에 살고 있다고 해도 늘 풍부한 영어 환경에 노출되는 건 어렵기 때문에 나 자신에게 이런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의식적으로 항상 노력을 해야 한다. 영어를 배우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팟캐스트는 특히 듣기 능력을 향상하는 데 강력한 도구가 된다. 교과서 속 인위 적고 영어학습자를 위해 편집된 대화가 아니라, 원어민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표현과 억양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학습할 수 있어 출퇴근길이나 운동할 때도 부담 없이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듣기만 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효과적으로 학습하려면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팟캐스트를 활용한 영어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이해 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 2025. 2. 7. 캐나다 이민자를 위한 주거 선택: 하우스 vs. 콘도 캐나다에서의 주거 선택은 크게 단독주택(Detached House, 이하 ‘하우스’)과 콘도(Condominium, 이하 ‘콘도’)로 나뉜다. 한국에서의 아파트와 비교할 때, 콘도는 비슷한 개념이지만, 관리 방식과 소유권 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캐나다에 유학을 오거나 이주 초기의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법적인 차이점보다는 일상생활에서 직접 느끼는 차이점 때문에 많은 고민을 한다. 개인적으로는 하우스를 적극 추천한다. 편리한 것으로 치면 콘도가 좋지만, 일단 캐나다에서는 하우스가 좀 더 대중적이고 일반적인 주거의 형태이기 때문에 캐나다 문화에 빨리 적응하는 데는 하우스가 훨씬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자녀가 있다면 더욱 그렇다. 지역마다 차이가 있을 수도 있지만, 가정 경제의 수준을 떠나, 일반적으로 아.. 2025. 2. 6. EFL(외국어로서의 영어) vs. ESL(제2언어로서의 영어) 1. 개념적 구분 및 교육적 차이EFL과 ESL의 구분은 Stern (1983), Ellis (1994) 등의 연구에서 강조되며, 학습 환경과 목표의 차이가 학습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영어가 공식 언어가 아닌 환경에서 배우는 경우학습은 주로 **형식적(formal) 교육 환경(교실, 학습 자료, 교재 등)**에서 이루어짐영어 사용 기회가 적고, 시험 및 학업 목적의 학습이 많음대표 연구: Stern (1983), Richards & Schmidt (2010)ESL (English as a Second Language):영어가 공식 언어이거나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환경에서 배우는 경우학습자가 일상생활에서 영어에 자연스럽게 노출됨 (사회적.. 2025. 2. 6.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